[리눅스마스터1급 - 1차] 2과목 - 4-1. 사용자 관리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CH.4 일반 운영 관리1. 사용자 관리1-1. root 사용자 관리   1) su 명령어    -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 : 전환하는 사용자의 초기화 파일을 실행           EX) # su – root → root의 환경변수를 적용하고 전환        : [-c] : 계정 변환 없이 특정 명령어만 실행 (sudo 명령어와 같은 기능)           EX) # su -c ‘cat /etc/passwd’ – root → root 권한으로 해당 명령을 실행     - su 명령어로 사용자 전환 후의 위치는 동일   2) root 계정 관리     - root 계정의 UID 값은 0, 슈퍼유저(Super User)라고도 불림     - roo..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1과목 - 3-2. 네트워크의 이해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2. 네트워크 설정2-1. 환경 설정  1) IP 주소 설정      - LAN 카드를 OS에 인식시킨 후 IP를 설정해야 함      - ifconfig 명령어         : 형식 : # ifconfig [인터페이스 명] [옵션]         : [-a] : 시스템의 전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         : 옵션 없이 사용 시 현재 설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을 출력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 주소, MAC 주소, MTU, RX/TX 패킷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EX) IP 설정 예제                   # ifconfig eth0 192.168.1.33 netmask 255.255.255.0 → eth0..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1과목 - 3-1. 네트워크 기초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CH.3 네트워크의 이해 * docker0  : 경량화된 서버 가상화 기술인 Docker를 사용할 경우 설정되는 네트워크 장치1. 네트워크 기초1-1. OSI 7계층 1-2. 네트워크 장비   1) 허브(Hub)     -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더미 허브(Dummy Hub)           : 일반적인 허브.            : 허브로 들어온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뿌려주는 역할            :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연결된 노드가 많을수록 속도가 저하됨       -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 허브에 스위칭 개념을 도입한 장비            : 허브로 들어온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에 해당하는 포트로 전송함    ..
[네트워크] JWT 토큰
·
CS 지식/[네트워크]
Claim : key-value 형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정보 JWT 토큰 JSON 포맷을 이용하는 Claim 기반의 웹 토큰 토큰 자체를 정보로 사용하는 Self-Contained 방식으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함 1) 헤더(Header) 토큰의 타입과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방식지정)으로 이루어져 있음 alg : 서명 암호화 알고리즘(ex: HMAC SHA256, RSA) typ : 토큰 유형 2) 내용(Payload) 토큰에 사용자가 담고자 하는 정보를 담음 내용에는 Claim이 담겨있고, JSON(Key/Value) 형태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음 클레임 단위 등록된 클레임 (Registered Claim), 공개 클레임 (Public Claim), 비공개 클레임 (Private Claim) 1) ..
[네트워크] Connection Timeout과 Read Timeout
·
CS 지식/[네트워크]
Connection Timeout 서버 자체에 클라이언트가 어떤 사유로 접근을 실패했을 시 적용되는 것 즉, 접근을 시도하는 시간 제한이 Connection Timeout 되는 것 Read Timeout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성공했으나 서버가 로직을 수행하는 시간이 너무 길어 제대로 응답을 못 준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해제하는 것 이 경우는 클라이언트는 해당 상황을 오류로 인지하고, 서버는 계속 로직을 수행하고 있어 성공으로 인지해 양 사이드간 싱크가 맞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네트워크] DNS
·
CS 지식/[네트워크]
인터넷은 서버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IP 주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DNS를 사용하여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IP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 도메인(Domain)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 도메인을 이용하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주소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음 ex) 예를 들어 구글의 IP 주소가 11.32.23.232 이라고 하자. 이것 보단 도메인인 www.google.com 훨씬 확인이 쉽다.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