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서버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IP 주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DNS를 사용하여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IP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
도메인(Domain)
-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
- 도메인을 이용하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주소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음
ex) 예를 들어 구글의 IP 주소가 11.32.23.232 이라고 하자. 이것 보단 도메인인 www.google.com 훨씬 확인이 쉽다.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NS 과정
- URL에 www.google.com을 입력했다고 가정
- 클라이언트는 Local DNS 서버에 요청을 보냄
- Local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없다면 Root DNS 서버에 요청을 전달
- Root DNS 서버는 .com 도메인의 TLD DNS 서버에 요청을 보내라고 알려줌
- TLD DNS 서버에 요청을 보냄
- TLD DNS 서버는 구글 서버 제공 업체의 DNS 서버에 요청을 보내라고 알려줌
- 구글 서버 제공 업체의 DNS 서버에 요청을 보냄
- www.google.com의 IP 주소를 응답
- 사용자는 드디어 www.google.com의 IP 주소를 알게 됨
'CS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JWT 토큰 (0) | 2023.07.17 |
---|---|
[네트워크] Connection Timeout과 Read Timeout (0) | 2023.07.17 |
[네트워크] 공인(public) IP와 사설(private) IP (0) | 2023.07.17 |
[네트워크] 세션 기반 인증 & 토큰 기반 인증 (0) | 2023.07.17 |
[네트워크] 쿠키 & 세션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