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차이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쿠키는 클라이언트,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
세션은 보안이 뛰어나다는 점과 쿠키는 요청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
쿠키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 쪽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
-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PC에 저장했다가 필요 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음
세션
- 서버 쪽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
-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
쿠키(Cookie) | 세션(Session) | |
저장 위치 | 클라이언트(=접속자 PC) | 웹 서버 |
저장 형식 | text | Object |
만료 시점 | 쿠키 저장 시 설정(브라우저가 종료되도, 만료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삭제되지 않음) | 브라우저 종료 시 삭제(기간 지정 가능) |
사용하는 자원(리소스) | 클라이언트 리소스 | 웹 서버 리소스 |
용량 제한 | 총 300개 하나의 도메인 당 20개 하나의 쿠키 당 4KB(=4096byte) | 서버가 허용하는 한 용량 제한 없음 |
속도 | 세션보다 빠름 | 쿠키보다 느림 |
보안 | 세션보다 안좋음 | 쿠키보다 좋음 |
쿠키의 동작 순서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
- 웹 서버는 쿠키를 생성한다.
- 생성한 쿠키에 정보를 담아 HTTP 화면을 돌려줄 때,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준다.
- 넘겨받은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다가(로컬 PC에 저장) 다시 서버에 요청할 때 요청과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 동일 사이트 재방문 시 클라이언트의 PC에 해당 쿠키가 있는 경우, 요청 페이지와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세션의 동작 순서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에 요청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
- 서버는 접근한 클라이언트의 Request-Header 필드인 Cookie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가 해당 session-id를 보냈는지 확인한다.
- session-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session-id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준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돌려준 session-id를 쿠키를 사용해 서버에 저장한다.
- 클라이언트는 재접속 시, 이 쿠키를 이용해 session-id 값을 서버에 전달
'CS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인(public) IP와 사설(private) IP (0) | 2023.07.17 |
---|---|
[네트워크] 세션 기반 인증 & 토큰 기반 인증 (0) | 2023.07.17 |
[네트워크] HTTP & HTTPS (0) | 2023.07.17 |
[네트워크] GET & POST (0) | 2023.07.17 |
[네트워크] 대칭키 & 공개키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