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Dev Story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 3과목 NOS 본문

자격증 & 공부/네트워크관리사 2급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 3과목 NOS

woojin._. 2024. 2. 25. 17:33
 

3과목 NOS(최종)

1. Windows Server 2016에서 IIS 관리자 기능 웹 사이트의 기본 웹 문서 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기본 웹 문서를 추가하거나 기본 웹 문서들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디렉터리 검색기능을 활성화

freewings.tistory.com

위의 링크를 참고하여 정리했습니다.

 

Linux 명령어 해석기

- Shell(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 주는 역할)

 

PowerShell

-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 설계된 명령 라인 셀 및 스크립팅 언어로, 강력한 확장성을 바탕으로 서버 상의

수많은 기능의 손쉬운 자동화를 지원

- 콘솔에서 대화형으로 사용 가능

- 텍스트로 구성됨

- 대소문자 구분 안 함

- cmdlet의 개념을 도입함

- 기존 DOS 명령을 사용할 수 있음

 

Linux 시스템 명령어

 

* 서버 종료

- shutdown h now

- poweroff

- init 0

- halt

 

* 시스템 재부팅

- shutdown : 서버 종료 명령어(시스는

- 재부팅 옵션 : -r

- 재부팅 취소 : ctrl + c or shutdown c

- n분 후 : +n

=> 5분 후 재부팅 : shutdown r +5

 

* ping

- 네트워크 상의 특정 호스트가 도달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나 흡별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

 

* nslookup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하거나 그 반대의 과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

-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지 않음

 

* pathping

- pingtracert의 기능을 결합한 명령어

-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추적하고 각 홉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분석

- 네트워크 진단에 유용한 도구로, 경로 분석 및 각 홉에서의 시간 지연 정보를 제공

 

* nbtstat

- NetBIOS over TCP/IP(NBT) 통계를 표시

- 네트워크 문제 GORUFD 사용

- 네트워크 경로 추적에는 사용되지 않음

 

* ps : 프로세스 전체 사용시간 동안의 cpu 사용률

: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top : 그때 그때의 cpu 사용률 (실시간)

 

* ipconfig / all

- Windows Server 2016에서 클라이언트의 Host Name,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 Server,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설정 사항을 볼 수 있는 명령어

 

* free

-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 공유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

 

* certmgr.msc

- 인증서 키를 실행창에서 명령어를 통해 복원시키고자 하는데 인증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명령어

 

* eventvwr.msc : Event Viewer : 이벤트 뷰어 열기

* compmgmt.msc : Computer Management : 컴퓨터 관리 열기

* secpol.msc : Local Security Policy : 로컬 보안 정책 설정 열기

* certmgr.msc : Certificate Manager

 

* perfmon(Performance Monitor)

- 성능 모니터로 미리 정의한 일정한 주기로 특정 이터를 수집하고자 성능 모니터 도구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어

 

* msconfig, dfrg, secpol : 시스템 유틸리티, 설정 도구와 관련

 

* lsattr

- ls + attribute

-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디스크와 파티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는 데 사용

* lsblk

- ls + block device

 

* nohup

- no hang up

- 터미널 세션을 종료해도 프로세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명령어

 

* 패스워드 정책 변경을 위한 명령어

- -m : 변경 날짜 설정

- -L : 계정 잠금

- -i : 패스워드 변경 간격 설정

- -w(Warning) : 알림 설정할 때 사용

 

* ipconfig

- ipconfig : 정보 표시

- ipconfig/all : 자세한 정보 표시

- ipconfig /flushdns : DNS cache 초기화 명령어

- ipconfig/displaydns : DNS 캐시 조회

- ipconfig/renew : IPv4 주소 갱신, 모든 어댑터 갱신

- ipconfig/renew EL* : EL로 시작되는 이름을 가진 모든 연결 갱신

- ipconfig/release : IPv4 주소 해제

- ipconfig/allcompartments : 모든 컴파트먼트에 대한 정보 표시

- ipconfig/allcompartments/all : 모든 컴파트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

* Active Directory에서 도메인 사용자 계정 관리 명령어

- dsadd : Directory Service Add 추가

- dsmod : Directory Service Modify 수정

- dsrm : Directory Service Remove 삭제

 

*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 mount

- df

- cat/etc/mtab

 

* fdisk

-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

- 리눅스의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일종의 유틸리티

 

* chage :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

* chgrp :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 chmod :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 usermod :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

* chown : Linux 디렉터리에 대한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

 

* lastb

- 비인가자의 로그인 시도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 xferlog

- FTP 서버의 전송 로그를 확인하는 명령어

 

* history

- 현재 사용자의 명령어 실행 이력을 확인하는 명령어

 

* pkill

- 프로세스를 신호를 통해 종료시키는 명령어

 

* cat

- 파일을 간단히 보거나, 다른 파일과 결합 시 사용

 

* more

- 한 페이지씩 볼 때 사용

 

* man ls

- ls라는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

 

* man 명령어 순서

- man ls, man cat 등등 man이 앞에 와야 함

 

EFS

- 인증서 파일의 확장자로 CER, P7B, PFX, SST 형식을 지원함

- 파일을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파일에 대한 파일 속성 중 고급을 선택하여 데이터 보호를 위한 내용을

암호화 선택함

- 파일 암호화 키가 없으면 할 수 있는 게 없음

- 백업된 파일 암호화 키가 있는 경우 인증서 관리자를 통해 인증서 키를 가져오기 하여 암호화된 파일을 열 수 있음

- 파일 암호화 키 백업을 하여 암호화된 파일에 영구적으로 액세스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 암호화 키 백업은 주로 다른 컴퓨터나 USB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에 별도로 저장할 것을 권장함

 

Windows Hosts 파일 경로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GRUB

- Linux 시스템에 있는 부트 로더로서 Linux 뿐만 아니라 다른 운영체제와의 멀티 부팅 기능 지원

 

Hyper-V

- x64 기반의 CPU

- CPU의 하드웨어 가상화 지원

- 하드웨어 DEP(Data Execution Protection : 실행방지)

- 하드웨어 사용율 높여줌

- 유지비용 줄일 수 있음

- 개발 및 테스트의 효율성 향상시킴

- 서버관리자의 역할 추가를 통하여 Hyper-V 서비스 제공 가능

- 스냅숏을 통해 특정 시점 기록 가능

- 가용성 향상

 

Hyper-V Snapshot 특징

- 가상 컴퓨터의 특정 시점을 저장하는 기능

- 가상디스크, 메모리, 구성을 모두 포함함

- 하나의 가상 컴퓨터에 여러 개의 snapshot을 만들 수 있음

 

롤링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 Hypr-V 부하와 서비스의 중단 없이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기능

 

중첩 가상화

- Hyper-V 가상 컴퓨터 내에서 Hyper-V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

 

파일의 권한

- xxx/xxx/xxx

: 앞의 세 문자파일 소유자에 대한 권한

: 중간의 세 문자파일 소유자의 그룹에 대한 권한

: 마지막 세문자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

 

- --- : 0 권한 없음 - r-- : 4 읽기 권한

- --x : 1 실행 전용 권한 - r-x : 5 읽기 및 실행 권한

- -w- : 2 쓰기 전용 권한 - rw- : 6 읽기 및 쓰기 권한

- -wx : 3 쓰기 및 실행 권한 - rwx : 7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

=> chmod 더 쉽게 변환

- r (읽기) : 4

- w (쓰기) : 2

- x (실행) : 1

 

- a : 모든 사용자

- u : 소유자

- g : 그룹

- o : 소유자와 그룹 외 사용자

- +w : 쓰기 허용

- -w : 쓰기 권한 제외

- = : 덮어쓰기

 

Apache 서버 설정 / httpd.conf 설명

=> 디렉터리 리스팅 방지, 심볼링 링크 사용 방지, SSI 사용 제한, CGI 실행 디렉터리 제한 등의 보안 설정

- 디렉터리 리스크 방지 : optionsindexs 제거

- 심볼릭 링크 사용 방지 : optionsFollowSymLinks 제거

- SSI(Server-Side-Includes) 사용 제한 : optionsIncludesNoExec 옵션을 줌

 

httpd.conf 설정파일 옵션값

- KeepAliveTimeout 80

: Linux Apache 웹 서버에 사용자가 접속 후 80초간 사용자가 요청이 없을 경우 세션을 종료시키도록

httpd.conf 파일에서 설정하는 옵션값

- Listen

: 웹 서버가 대기하고 있는 포트 번호를 지정하는 옵션

: 다른 포트를 사용하려면 Listen 옵션을 해당 포트 번호로 변경해야 함

: Linux Apache 웹서버의 httpd.conf 설정 파일에서 Linux 옵션을 변경하면 다른 port number

웹서버 운영 가능

 

apache 웹서버 구성 시 옵션

- Listen : 포트 지정

- ServerAdmin :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apache 서버가 보낼 E-mail 주소를 입력

- DocumentRoot : apache 서버가 인식할 데이터들이 저장될 디렉터리를 지정

- DirectoryIndex : 클라이언트가 웹서버 접속 시 초기 화면으로 보여줄 파일명을 지정

 

apache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내용

- 500(Internal Server Error) : 내부 서버 오류 (잘못된 스크립트 실행 시)

- 501(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 502(Bad gateway) : 서버 과부하 상태

- 503(Service Unvailable) :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멈춘 상태

 

BitLocker

- Windows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전체 디스크 암호화 기술

-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할 수 있음

-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도난 시에도 데이터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

 

NTLM(NT LAN Manager)

- 인증을 위한 프로토콜

- 데이터 암호화에 직접적인 관련 X

 

Encryption

- 암호화를 의미

- 구체적인 Windows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

 

vTPM(Virtual Trusted Platform Module)

- 가상 트러스트 플랫폼 모듈로, 보안 관련 작업에 사용

- 직접적으로 전체 디스크 또는 데이터 암호화와 관련은 없음

 

TPM

- 패스워드나 디지털인증서, 암호화, 키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RSASHA-1 등의 암호화 기법이

포함된 하드웨어 보안 칩으로 bitlocker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PM 보안 칩과 연동해야 함

 

FSRM(File Server Resource Manager)

- 윈도우 서버에서 파일 서버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기능

 

NT(New Technology) LAN Manager

- 윈도우 네트워크 인증 프로토콜

- 일종의 보안 프로토콜 모음

 

LinuxVI 편집기 명령어

* 변환

- %s/old/new : 각 행의 처음 나오는 old를 찾아 new로 변환

- %s/old/new/g : 모든 old를 찾아 new로 변환

- %s/old/new/gc : 모든 old를 찾아 new로 바꾸지 전에 물어봄

 

Linux 시스템의 디렉터리

- /etc : 시스템 전반의 환경설정 파일이 들어있음, 사용자 계정 정보 등

- /home : 일반사용자는 홈 디렉터리 내에서만 파일 편집 가능

- /lib : 주요 시스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이 저장

- /sbin : 시스템 바이너리 파일이 있음

- /bin :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 들어있음

- /proc : 시스템 정보를 가진 가상 디렉터리

- /tmp : 임시 파일들을 위한 공간

- /usr :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

- /var :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생기는 각종 임시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netstat

- Linux에서 열려있는 port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netstat 명령어 옵션 설명

- -a : 모든 연결 및 수신 대기 포트 표시

- -c :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마다 실행

- -l : listen 포트 확인

- -t : tcp로 연결된 포트 확인

- -u : udp로 연결된 포트 확인

- -n :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현

- -p : 해당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이름 출력

- -r : 라우팅 테이블 표시

- -y : 모든 연결에 대한 TCP 연결 템플릿을 표시

 

Windows Server의 자체적 백업 기능 실행 절차

- [시작] - [실행] - wbadmin.msc 명령 실행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 - Windows Server 백업

-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Windows Server 백업

 

Windows Server 서버 인증서 역할

- 공인 CA에서 새로운 인증서를 요청하기 위해 실행 중인IIS를 사용해 CSR을 생성

 

Windows Server 2016 이벤트 뷰어

- 보안 로그

: 보안과 관련된 로그 기록

- Setup 로그

: Windows 시스템의 설치 및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로그를 기록함

: 이벤트 ID 6000-6999 번호 범위에 해당

- 시스템 로그

: Windows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함

- 응용프로그램

- Forwarded Events

 

Windows Server 이벤트 뷰어 특징

- ‘이 이벤트에 작업 연결은 이벤트 발생 시 특정 작업이 일어나도록 설정하는 것

- ‘현재 로그 필터링을 통해 특정 이벤트 로그만 골라볼 수 있음

- 사용자 지정 보기를 XML로도 작성 가능

- ‘구독을 통해 관리자는 로컬 시스템의 이벤트에 대한 주기적인 이메일 보고서를 받을 수 없음

- 보안 로그 필터링 시 사용할 수 있는 이벤트 수준 : 경고, 오류, 정보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etc/named.conf 환경설정 옵션

- listen-on

: 네임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신할 IP 주소와 포트를 지정

: 서버 자체가 듣고 있을 IP주소와 포트를 설정하는 것

 

- directory

: 네임 서버의 주요 데이터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의 경로를 설정

: DNS 관련 데이터 파일들의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것

 

- dump-file

: DNS 서버의 캐시 된zone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덤프(저장)할 파일을 지정

: 서버의 캐시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것

 

- allow-query

: 네임 서버에 대한 쿼리(도메인 이름 요청)를 어떤 클라이언트로부터 허용할 것인지 지정

 

sconfig

- Windows Server 2016에서 Windows의 서버 코어 버전과 Hyper-V서버 2016에서 제공하는 기능

- Windows에서 가장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줄여주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커맨들 라인

- 직관적인 숫자 메뉴를 통해 Windows 구성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

 

Windows Server 2016의 그룹 계정

- Administrators 그룹

: 모든 권한을 가지는 그룹

: 일반사용자를 이 그룹에 소속시키면 Administrator와 동일한 권한을 가짐

- Backup Operators 그룹

: 파일을 백업하고 복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 Guests 그룹

: 로그인할 때 임시 프로필을 만들고 로그아웃하면 삭제되고, 기본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그룹

- Users 그룹

: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소속되는 그룹으로 시스템 수준의 변경의 권한을 갖지 않음

 

Windows Server 2016의 원격접속 서버 구축에 대한 설명

- Telnet 서버 :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접속방법이며, 보안이 취약하기에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 추세

- SSH 서버 : Telnet 서버와 원격관리 방법이 거의 유사하나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를 진행함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 그래픽 모드로 원격관리를 지원하며 효과적이고 편리하고 2대 이상 연결이 가능함

- 파워쉘(PowerShell) 원격 접속 : Core로 설치한 윈도우 서버에 별도 외부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보안과 빠른 속도를 보장하는 원격접속 방법

 

/etc/passwd

- user1:x:500:500::/home/user1:/bin/bash

-> 사용자 계정의 ID : user1

-> 패스워드 : 암호화되어 x로 표시

-> 사용자의 UIDGID : 500

-> 사용자의 기본 Shell : /bin/bash

 

Linux 시스템의 vi 에디터 명령어

- wq : 저장 후 종료

- wq! : 강제 저장 후 종료 (!가 붙으면 강제 실행)

- q : 종료

- q! : 저장하지 않고, 강제로 종료

 

/etc/check.sh 스크립트 crontab 파일 설정

- : 0

- 시간 : 10

- 해당 월의 날짜 : 임의

- : 임의

- 요일 : 월요일 (1로 표시)

 

Linux init 옵션

- init 0 : 시스템 종료

- init 1 : 단일 사용자 모드

- init 5 : GUI 모드

- init 6 : 시스템 재부팅

 

Passive Mode

- 서버에서 따로 포트 대역을 설정해 주고 서버는 임의로 지정된 데이터 포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내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포트로 접속하는 방식

 

Round Robin

- 여러 대의 웹 서버를 운영, 웹클라이언트 요청 시 교대로 서비스를 실행

- DNS 서버에 IP주소를 질의하면 설정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IP주소를 알려줌

 

crontab

- 사용자별로 설정된 작업 스케줄을 관리하는 명령어

- crontab u : 특정 사용자의 crontab을 관리하기 위한 옵션으로, 사용자를 지정해야 함

- crontab e : crontab을 편집하기 위한 옵션

- crontab l : 현재 사용자의 crontab 내용을 나열하는 옵션

- crontab r : 현재 사용자의 crontab을 삭제하는 명령어

 

SOA 레코드의 각 필드

- 일련번호 : 해당 영역 파일의 개정 번호

- 주 서버 : 해당 영역이 초기에 설정되는 서버

- 책임자 :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사람의 전자 메일 주소, web.icqa.or.kr 형식으로 기입 (@ 대신 . 사용)

- 새로 고침 간격 : 보조 서버에서 주 서버의 변경을 검사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

 

SOA 레코드

- Zone 파일은 항상 SOA로 시작함

-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저장됨

-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설정함

-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줄어듦

 

DNS Server 역할에서 지원하는 역방향 조회

- 클라이언트가 IP주소를 제공하면 도메인을 반환하는 것

 

find 명령어의 주요 옵션

- -name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이름으로 검색함 (사용자 이름이 아니라)

- -type : 파일의 유형에 따라 검색함

-type f : 파일만 검색

-type d : 디렉터리만 검색

- -perm : 파일의 권한을 기반으로 검색함

- -exec : 찾은 파일에 대한 삭제 등의 추가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음

 

파티션

- SWAP : Linux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 메모리가 가득 차게 되면 논리적인 메모리 저장공간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파티션

- FAT32 : 파일 시스템 형식,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

- RAID : 하드 드라이브 복제 및 오류 복구

- LVM : 논리적인 볼륨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Multihoming

- 인터넷에 다중 접속하는 기술

- 차세대 인터넷의 다양한 요구 충족 가능

- 단일 인터넷 연결만으로는 제공하기 어려운 요구사항인 오류 예방, 로그 분산 등을 효율적으로 제공 가능

 

Windows server 2016 DNS서버 DNS레코드

- 새 호스트 :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등록하는 것

- 새 포인터 : IP 주소에 대한 FQDN을 등록하는 것

- 새 별칭(CNAME) : 호스트 이름의 대체 이름을 생성하는 레코드

: 별칭은 다른 호스트 이름을 가르키며, 실제로 IP주소를 가지지 않음

- 새 메일 교환기(MX) : 메일 서버를 등록하는 것

- A :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을 32비트 IPv4 주소와 연결

- AAAA : 정규화된 도메이 이름을 128비트 IPv6 주소와 연결

- NS : 특정 도메인의 DNS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도메인 네임에 대한 모든 요청이 NS에 전송됨

: 각 도메인은 해당 하나 이상의 NS 레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도메인의 DNS 쿼리를 처리하는 서버를 지정함

 

Windows Server 2016에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계정

- Adminitrator

- DefaultAccount

- Guest

 

IIS 기본 웹사이트 등록 정보의 필드에 대한 설명

- IP 주소 : 사이트가 사용할 IP 주소를 기록하며, 한 컴퓨터에 2개 이상의 IP가 할당된 경우는 IP의 접속 순서를

지정

- TCP 포트 : 웹서버 시스템의 논리적인 포트 번호를 나타냄

- 연결 수 제한 : 웹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 제한을 지정

- 연결 시간 제한 : 웹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세션을 끊도록 지정

 

IIS 관리자의 기능

- 웹 사이트의 기본 웹 문서 폴더를 변경할 수 있음

- 기본 웹 문서를 추가하거나 기본 웹 문서들의 우선순위를 조정 가능

- 디렉터리 검색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기본 문서가 없을 때 파일들의 목록이 나타남

- 가상 디렉터리의 이름은 실제 경로의 이름과 일치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음

 

NTFS

- 퍼미션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접근 권한을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

- 파일 시스템의 암호화 지원

 

ReFS

- 데이터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정하는 기능

- NTFS를 기반으로 한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파일 시스템

- FAT32의 장점과 호환성을 유지하지 않음

 

Active Directory 구성

- OU(Organizational Unit) : 조직 구성단위

- DLG(Domain Local Group) : 도메인 로컬 그룹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

- 트러스트 : 서로 다른 도메인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정하는 기능

 

로컬 보안 정책 항목

- 계정 정책

- 로컬 정책

-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 네트워크 목록 관리자 정책

- 공개 키 정책

-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

- 응용 프로그램 제어 정책

- IP 보안 정책

- 고급 감사 정책 구성

 

htm, html, php 같은 파일명을 불러올 때, htm -> html -> php 순으로 우선적으로 인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