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Dev Story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 2과목 네트워크 일반 본문

자격증 & 공부/네트워크관리사 2급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 2과목 네트워크 일반

woojin._. 2024. 2. 25. 17:28
 

2과목 네트워크 일반(최종)

1. 패킷 교환의 특징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 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에러탐지 기능, 디지털 전송, 고품질,

freewings.tistory.com

위의 링크를 참고하여 정리했습니다.

 

 

VPN

- 인터넷과 같이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중망을 특정인이나 조직이 단독으로 사용하는 사설망처럼

동작시키고 고비용의 사설망을 대체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

- VPN을 이용하면 본사와 자사 간의 네트워크를 전용선으로 구축하는 것에 비해 훨씬 적은 비용으로 유지 가능

-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용하여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가상의 터널을 만들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IPSec

- VPN의 터널링 프로토콜

- 3계층 프로토콜로서 전송 모드와 터널 모드 2가지 사용

- 전송 모드는 IP 페이로드를 암호화하여 IP 헤더로 캡슐화하지만, 터널 모드는 IP 패킷을 모두 암호화하여 인터넷으로 전송

 

VPN 구현 기술

- Tunneling

: 인터넷 네트워크 상에서 두 호스트 지점 간에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상 경로를 설정해 주는 것

 

IEEE 802 프로토콜 종류

- IEEE 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HTL) MAC 브릿지

- IEEE 802.2 : 논리 링크 제어(LLC)

- IEEE 802.3 : CSMA/CD, 유선

- IEEE 802.4 : Token Bus

- IEEE 802.5 : Token Ring MAC layer

- IEEE 802.6 : MANs(DQDB)

- IEEE 802.9 : IS LAN

- IEEE 802.10 : 네트워크 보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 802.11 : Wireless LAN, CSMA/CA, 무선

- IEEE 802.12 : 디멘드, 프라이빗

- IEEE 802.14 : Cable Modem

- IEEE 802.15.1 : WPAN/블루투스

- IEEE 802.15.3 : 고속 WPAN

- IEEE 802.15.4 : ZigBee, 저속 WPAN

- IEEE 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WPA2

- 무선LAN 보안을 위해 가장 강력한 방법

 

NAS

-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장치

- 다수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데이터 공유

- 주로 파일 스토리지, 파일 공유, 백업, 데이터 아카이빙에 사용

 

RAID

- 여러 하드 드라이브를 결합하여 안정성과 성능 향상

- 다양한 레벨로 데이터 보호와 성능 조절

 

RFID

-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

- 작은 크기에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

- 컴퓨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차세대 인식기술로 불림

 

WMN

- 기존의 유선망으로 연결한 AP로 구성된 환경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온 기술

- 인터넷/인트라넷에 연결되지 않은 AP가 인터넷/인트라넷에 연결된 APWDS(무선 분산 시스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

 

SIP

- 실시간 통신 세션을 시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 세션의 초기 설정 및 제어를 담당

- TCPUDP 모두 사용 가능

- 화상 회의를 하기 위해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URL을 사용하여 IP주소에 종속받지

않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MIME

-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

- 이메일에서 여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고 식별하고 처리

 

NFV

- 네트워킹에 필요한 모든 유형의 자원을 추상화하고, 소프트웨어적이고 자동적으로 관리와 제어가 가능케 하는 가상화 기술

- 네트워크 관리 용이, 관리 비용 절감, 네트워크 민첩성 등의 장점

 

WDM(파장분할다중화방식)

- 광증폭기를 사용해 무중계 장거리 전송이 가능

WPAN

- 스마트홈 통신에 사용

- 짧은 거리에 존재하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기기 간의 통신을 지원

- UWB, ZigBee, RFID, 블루투스 기술 등이 활용됨

 

Internet of Things

-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 인간의 구체적인 개입이나 지시 없이 협력적으로 모든 사물이 센싱과 정보처리, 네트워킹 수행이 가능하도록 함

 

AMI

- 스마트 그리드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인프라로서 스마트 미터, 통신망, 계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운영

시스템으로 구성됨

- 스마트 미터 내에 모뎀을 설치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 계량 인프라

- 소비자와 전력회사 간 양방향 통신으로 원격검침, 수요관리, 전력소비 절감과 전기품질 향상 등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

 

LAN의 구성 형태

- Star

: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점 대 점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 형태

: 컴퓨터 추가 설정 용이

: 고장 발견, 수리 쉬움, 노드 증설 및 이전 쉬움

: 한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없음

: 중앙 컴퓨터 고장 시, 모든 클라이언트가 마비됨

 

- Bus

: 터미네이터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 장비들을 하나의 회선을 통해 공유

: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 간단하고 신뢰도 높음

: 속도가 빠르고 장비 추가 간단

: 하나의 장비가 고장 나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케이블 고장 시 전체적으로 문제 발생

 

- Mesh(망형)

: 공중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 통신 회선의 경로가 가장 김

: node의 연결성이 높고, 많은 단말기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함

: 한 노드가 고장이나도 다른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구축 비용 많이 들고, 복잡한 형태로 관리 어려움

 

- Ring(루프형)

: 데이터는 한쪽 방향으로만 흐름, 병목현상이 드물다.

: 양쪽 방향으로 접근 가능, 통신회선 장애에 대한 융통성

: 한 노트가 절단되어도 우회로를 구성하여 통신 가능

: 컴퓨터를 한 대 추가하기 위해서 선을 끊어야 함

: 회선이 끊어지면 전체 네트워크 장애

 

- Tree(계층형, 분산형)

: 하나의 노드에 여러 개의 노드가 트리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

: 데이터는 양방향으로 모든 노드에 전송

: 실제 사용하는 허브의 사용 방식

: 네트워크 확장 용이

: 상위 노드 문제 시, 하위 노드 모두 영향 미침

: 중앙 지점에서 병목현상 발생 가능

: 중앙 지점 고장 발생 시, 네트워크 마비 또는 분할

 

에지 컴퓨팅

-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연산을 데이터 센터로부터 떠나 네트워크 에지 방향으로 옮김으로써, 스마트 오브젝트,

휴대전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클라우드를 거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응답 시간 감소 및 전송 속도 증가

 

사물인터넷(IoT)

- 센서와 무선 통신으로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유비쿼터스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신 클라이언트

- CPU 메모리 등 구동에 필요한 장치만 설치, 데이터는 중앙 서버에서 이용하는 얇은 업무용 PC

 

에러제어 기법

- Stop and Wait ARQ

: 자동 재전송 기법 중 하나로 송신 측이ACK 또는 NAK를 받을 때까지 다음 프레임을 받을 수 없음

- Go-Back N ARQ

: 자동 재전송 기법 중 하나로 손상/분실된 프레임 이후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 시킴

- Selective Repeat ARQ

: 자동 재전송 기법 중 하나로 손상/분실된 프레임만 재전송 시킴

- Adaptive ARQ

: 전송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방식

- 전진에러 수정(FEC)

: 자기가 스스로 에러를 고침

 

패킷 교환 특징

-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써 고품질, 고신뢰성 통신이 가능

-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 높음

- 에러탐지 기능, 디지털 전송, 고품질, 고효율적

- 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를 유동적으로 설정

- 전송속도나 흐름제어 가능

- 패킷 교환의 방식으로는 연결형인 가상회선방식과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두 가지가 있음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

- 구문(Syntax) :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및 신호의 크기 등을 규정한 것 (정해진 구조 따라야 함)

- 의미(Semantics) : 전송의 조작이나 오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에 대한 규정

- 타이밍 : 실체(Entity) 간의 통신 속도 및 메시지 순서를 위한 제어 정보

 

지연 왜곡 : 데이터 전송 시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의 전달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

감쇠 현상 : 전송신호가 전송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신호세기가 점점 약해지는 현상

누화 잡음 : 상호 인접한 전송매체의 전자기적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

상호 변조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똑같은 전송 매체를 공유할 때 주파수들의 신호 차이로 발생

 

다중화 (Multiplexing)

- 송신 측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이 하나이 통신 회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를 수신 측에서 다시

여러 개의 신호로 분리하는 것

 

SaaS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들 중 하나의 유형으로서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소프트웨어를 제공

- 서비스의 대상자는 주로 일반 소프트웨어 사용자

 

PaaS

- 개발

 

laaS

- 가상화

 

BPaas

- 백업

 

SDN

- 라우터나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이나 연결 경로 등을 물리적인 기기의 도입과 배선 작업을 하지

않아도 소프트웨어 설정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

- 가상화하고 추상화함

 

NAC

-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정책 준수 여부를 검사하고 IP MAC address의 인가여부를 검사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을 허용하는 방식

-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의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들을 분류하며, 분류한 그룹의

보안 위협 정도에 따라 제어를 수행

 

근거리 통신망의 표준

- Ethernet : 10BASE-T

- Fast Ethernet : 100BASE-T

- Gigabit Ethernet : 1000BA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