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
CS 지식/[네트워크]
연결을 성립하고 해제하는 과정 3 way handshake - 연결 성립 TCP는 정확한 전송을 보장해야 함 (SYN : 연결 요청 플래그 / ACK : 응답)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접속을 요청하는 SYN 패킷을 보냄 (sequence : x)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청인 SYN(x)을 받고, 클라이언트로 받았다는 신호(요청을 수락한다는)인 ACK와 SYN이 설정된 패킷을 보냄 (sequence : y, ACK : x + 1)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수락 응답인 ACK(x+1)와 SYN(y) 패킷을 받고, ACK(y+1)를 서버로 보냄 → 그러면 연결 성립 → 이렇게 3번의 통신이 완료되면 연결이 성립된다. (3번이라 3 way handshake인 것) 4 way handshake - 연결 해제 연결 성립 후,..
[알고리즘] 빅오표기법(big-O notation)
·
CS 지식/[알고리즘]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판단하는 척도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가 있음 그 중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 내 연산의 횟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시간 복잡도 표기법 Big-O(빅 오) 표기법 알고리즘 최악의 실행 시간을 표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 최소한 보장되는 성능을 표기 Big-Ω(빅 오메가) 표기법 알고리즘의 최상의 실행 시간을 표기 Big-θ(빅 세타) 표기법 알고리즘 평균 실행 시간을 표기 실행 속도 O(1) -> O(log N) -> O(N) -> O(N log N) -> O(N^2) -> O(2^N) 빅오 표기법의 특징 상수항(영향력 없는 항) 무시 : O(N + 1) -> O(N)으로 표기 계수 무시 : O(2N) -> O(N)으로 표기 최고차항만 표기 : O(3N^3 + 2N^2 +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