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1차] 2과목 - 4-3. 프로세스 관리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3. 프로세스 관리3-1. 프로세스의 제어  1) 런레벨 (Run Level) 분류  2) 포그라운드 / 백그라운드    - 포그라운드 (foreground) : 포그라운드로 실행시킨 프로세스는 종료되기 전까지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음     - 백그라운드 (background) :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면 다른 작업 수행이 가능       : 명령어 마지막에 ‘&’를 붙여 실행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음     - 포그라운드 동작 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하는 방법       : [Ctrl] + [Z]를 눌러 작업을 일시 정지 시킨 후 bg 명령을 실행함     - 백그라운드 -> 포어그라운드 전환 : fg 작업번호 or fg %작업번호 3-2. 관련 명령어  1) top..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2과목 - 4-2. 파일시스템 관리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2. 파일시스템 관리2-1. 파일 및 디렉터리 관리  1) ls-l 명령어 수행 시 각 필드 항목   2) 파일의 종류    - “ls-l” 명령어 사용 시 첫 번째 필드의 첫 번째 비트    - 일반 파일 : “-“로 표기    - 디렉터리 (directory) : ”d”로 표기    - 심벌릭링크 파일 : “l”로 표기       : ln 명령어 : 링크 파일 생성 명령어       : 옵션 없이 수행 시 하드 링크 파일 생성, [-s] 옵션 사용 시 심벌릭링크 파일 생성           - 하드 링크 : inode number가 같음. 복사 개념           - 심벌릭링크 : inode number가 다름. 바로가기 개념                EX) # ln -s file.txt fil..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2과목 - 4-1. 사용자 관리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CH.4 일반 운영 관리1. 사용자 관리1-1. root 사용자 관리   1) su 명령어    -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 : 전환하는 사용자의 초기화 파일을 실행           EX) # su – root → root의 환경변수를 적용하고 전환        : [-c] : 계정 변환 없이 특정 명령어만 실행 (sudo 명령어와 같은 기능)           EX) # su -c ‘cat /etc/passwd’ – root → root 권한으로 해당 명령을 실행     - su 명령어로 사용자 전환 후의 위치는 동일   2) root 계정 관리     - root 계정의 UID 값은 0, 슈퍼유저(Super User)라고도 불림     - roo..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1과목 - 3-2. 네트워크의 이해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2. 네트워크 설정2-1. 환경 설정  1) IP 주소 설정      - LAN 카드를 OS에 인식시킨 후 IP를 설정해야 함      - ifconfig 명령어         : 형식 : # ifconfig [인터페이스 명] [옵션]         : [-a] : 시스템의 전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         : 옵션 없이 사용 시 현재 설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을 출력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 주소, MAC 주소, MTU, RX/TX 패킷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EX) IP 설정 예제                   # ifconfig eth0 192.168.1.33 netmask 255.255.255.0 → eth0..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1과목 - 3-1. 네트워크 기초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CH.3 네트워크의 이해 * docker0  : 경량화된 서버 가상화 기술인 Docker를 사용할 경우 설정되는 네트워크 장치1. 네트워크 기초1-1. OSI 7계층 1-2. 네트워크 장비   1) 허브(Hub)     -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더미 허브(Dummy Hub)           : 일반적인 허브.            : 허브로 들어온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뿌려주는 역할            :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연결된 노드가 많을수록 속도가 저하됨       -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 허브에 스위칭 개념을 도입한 장비            : 허브로 들어온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에 해당하는 포트로 전송함    ..
[리눅스마스터1급 - 1차] 1과목 - 2.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
자격증 & 공부/리눅스마스터 1급
CH.2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1. 리눅스와 하드웨어1-1. 하드웨어의 이해 1-2. 하드웨어의 선택   1)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분류     - RAID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것      - RAID 0 : 스트라이핑 기능(분배 기록) 사용. 빠른 I/O 성능, 고장 대비 능력 X       - RAID 1 : 두 개 이상의 디스크를 미러링을 통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       - RAID 2 : ECC(에러 검출 기능) 탑재       - RAID 3 : 하나의 디스크를 에러검출을 위한 패리티 정보 저장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디스크에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산 저장       - RAID 4 : RAID 3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