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D] 2과목 – 3. 관리 구문
·
자격증 & 공부/SQLD
[ 2과목 – 3. 관리 구문 ]  *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란 의미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 삭제, 조회하는 명령어    - DML 명령서 사용 후 별도의 COMMIT 명령어를 실행시켜야만 데이터가 반영되고 ROLLBACK이 가능  * DML 종류     (1) INSERT       -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명령어. 입력할 데이터가 컬럼의 데이터 타입과 맞지 않을 경우 묵시적으로          형변환을 한 후 입력       - 만약 형변환을 해도 데이터 타입에 안 맞을 경우 에러가 발생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1, 컬럼2, ...) VALUES (데이터1, 데이터2, ...)     (2) UPDATE   ..
[SpringBoot] Spring
·
Web & Android/SpringBoot
프레임워크 정해진 틀에서 동작하는 것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함 오픈소스 특징 경량 컨테이너로 자바 객체를 담고 직접 관리한다. 객체의 생성 및 소멸 그리고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며 언제든 Spring 컨테이너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Pla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getter/setter를 가진 단순 자바 오브젝트를 정의한다. 의존성이 없고 추후 테스트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유연성의 장점을 가진다. 제어 반전(역전)(IoC : Inversion of Control)을 지원한다. 컨트롤의 제어권(주도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Transaction)
·
CS 지식/[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 → SQL 질의어를 통해 DB에 접근하는 것 - SELECT - INSERT - DELETE - UPDATE 작업 단위 → 많은 SQL 명령문들을 사람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정하는 것 예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만원을 송금한다. * 이때 DB 작업 - 1. 사용자 A의 계좌에서 만원을 차감한다 : UPDATE 문을 사용해 사용자 A의 잔고를 변경 - 2. 사용자 B의 계좌에 만원을 추가한다 : UPDATE 문을 사용해 사용자 B의 잔고를 변경 현재 작업 단위 : 출금 UPDATE문 + 입금 UPDATE문 → 이를 통틀어 하나의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 위 두 쿼리문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만 "하나의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