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측 상단, 닉네임 좌측의 지역을 아시아 태평양(서울) 로 변경
2. 중앙 검색바에 EC2 검색, 클라우드의 가상 서버 선택
3. 인스턴스 시작 → 주황 버튼의 인스턴스 시작 클릭
- 서버 이름 짓기
- 서버 설정
- OS는 우리에게 익숙한 Ubuntu, 아키텍처는 64비트(x86)
- ⇒ 반드시 프리 티어 사용 가능이 적혀있는 AMI 인지 확인!
- 프리 티어 사용 가능인지 확인
- 키 페어 생성하기
- 새 키 페어 생성 클릭
- 이름 작성하고, 키페어 유형 확인.하단에 키 페어 생성 클릭
-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은 윈도우는 *.ppk* / 맥은 *.pem* (중요)
- 하단에 키 페어 생성 클릭
- 생성을 마치면 다운로드 폴더에 방금 지어준 이름과 똑같은 이름의 파일이 다운됨
- 서버 로그인에 필요한 중요 파일이니, 잃어버리지 않게 보관 (백업도)
- 방금 만든 키 페어 선택
- 네트워크 설정
- HTTPS, HTTP 트래픽 허용 체크
- 일단은 내 IP를 선택
- 지금 생성하는 EC2 서버의 내부 접근을 허용하는 IP를 정하는 것.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른 팀원을 추가할 땐 다른 설정을 골라야하지만,
- 현재는 개인용으로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 IP 선택
- 스토리지 구성
- 30기가까지 무료라니까 30기가 입력
- 화면 우측 요약에서 인스턴스 시작 클릭
- 끝
과금 설정 알림
- 끝 화면에서 결제 알림 생성 클릭
- 알림 기본 설정 편집 → AWS 프리 티어 알림 수신 → 이메일 주소 입력 후 업데이트 클릭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서버 최초 환경 설정하기 (0) | 2024.06.13 |
---|---|
[AWS] EC2 서버 접속해보기 (0) | 2024.06.13 |
[AWS] AWS 회원 가입 & 보안 걸기 (0) | 2024.06.13 |
[AWS] AWS에 배포하기 (0) | 2024.06.13 |
[AWS] AWS란?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