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자료를 묶어서 활용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
- 여러 개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해 다룰 수 있는 자료형
- 대괄호 [ ] 를 사용해 생성, 내부의 값은 쉼표로 구분해 입력 → 배열 내부에 들어있는 값 (요소)
| > const array = [273, 'String', true, function () { }, {}, [273, 103]] |
| undefined |
| |
| > array |
| (6) [273, 'String', true, f, {...}, Array(2)] |
| > const numbers = [273, 52, 103, 32] |
| undefined |
| |
| > numbers[0] |
| 273 |
| > numbers[1] |
| 52 |
| |
| > numbers[1+1] |
| 103 |
| > numbers[1 * 3] |
| 32 |
| > const fruits = ['배', '사과', '키위', '바나나'] |
| undefined |
| |
| > fruits.length |
| 4 |
| |
| > fruits[fruits.length - 1] |
| "바나나" |
배열.push(요소)
| > const todos = ['우유 구매', '업무 메일 확인하기', '필라테스 수업'] |
| undefined |
| |
| > todos |
| (3) ["우유 구매", "업무 메일 확인하기", "필라테스 수업"] |
| |
| > todos.push('저녁 식사 준비하기') |
| 4 |
| |
| > todos.push('피아노 연습하기') |
| 5 |
| |
| > todos |
| (5) ["우유 구매", "업무 메일 확인하기", "필라테스 수업", "저녁 식사 준비하기", "피아노 연습하기"] |
인덱스 사용
- 특정 인덱스에 요소를 강제 추가하는 것으로 특정 인덱스 전에 빈 인덱스가 생길 경우 empty가 됨
| > const fruitsA = ['사과', '배', '바나나'] |
| undefined |
| |
| > fruitsA[10] = '귤' |
| "귤" |
| |
| > fruitsA |
| (11) ["사과", "배", "바나나", empty x 7, "귤"] |
| > const fruitsB = ['사과', '배', '바나나'] |
| undefined |
| |
| > fruitsB[fruitsB.length] = '귤' |
| "귤" |
| |
| > fruitsB |
| (4) ["사과", "배", "바나나", "귤"] |
인덱스 사용
- 배열.splice(인덱스, 제거할 요소의 개수)
| > const itemsA = ['사과', '배', '바나나'] |
| undefined |
| |
| > itemsA.splice(2, 1) |
| ["바나나"] |
| |
| > itemsA |
| (2) ["사과", "배"] |
값 사용
- const 인덱스 = 배열.indexOf(요소)
- 배열.splice(인덱스, 1)
| > const itemsB = ['사과', '배', '바나나'] |
| undefined |
| |
| > const index = itemsB.indexOf('바나나') |
| undefined |
| |
| > index |
| 2 |
| |
| > itemsB.splice(index, 1) |
| ["바나나"] |
| |
| > itemsB |
| (2) ["사과", "배"] |
| |
| > itemsB.indexOf('바나나') |
| -1 |
| > const itemsD = ["사과", "귤", "바나나", "오렌지"] |
| undefined |
| |
| > itemsD.splice(1, 0, "양파") |
| [] |
| |
| > itemsD |
| (5) ["사과", "양파", "귤", "바나나", "오렌지"] |